스킵네비게이션

기타 중요 상례예절

태극기 사용

  • 태극기를 관보로 사용 시 관의 상(머리 쪽)의 왼쪽부터 시작해서 건괘, 이괘, 곤괘, 감괘, 순으로 관을 덮는다.

묘가 둥근 이유

  • 태아를 잉태한 산모의 배나 알의 형상으로 탄생을 기원하는 의미로 무덤 속의 사람도 언젠가는 소생하리라는 염원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.

지팡이의 사용

  • 지팡이를 짚는 것은 상제들이 부모상을 당하여 슬픔으로 쇠잔한 몸을 의지한다는 것이고 또한 상주의 신분을 나타내기 위함이다. 아버지 상에는 대나무를 어머니 상에는 오동나무 재료를 사용한다.
    • 아버지 상에는 대나무를 사용하는 이유는 대나무가 성품이 곧고 둥글기 때문이며 둥근 원은 하늘(남자)을 상징하기 때문이다.
    • 어머니 상에 오동나무를 사용하는 이유는 오동나무를 네모지게 깎아서 사용하는데 네모가 뜻하는 것은 땅을 나타내고 여성적이며 부드러움이 있기 때문이다.

묘지 합장의 경우

  • 묘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은 남자, 우측은 여자를 모신다. 각 봉분(묘지)을 따로 하였을 때도 위치는 같다.

수의는 삼베로만 해야 하나?

  • 삼베의 특수한 성분인 향 바이오 작용으로 고인의 시체가 유탈되면서 벌레나 잡균이 침범하지 못하는 역할을 해주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.
  • 삼베는 산에 강하기 때문에 시신이 유탈되는 과정에서 뼈가 흐트러지지 않고 오랫동안 바르게 잡아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.

※ 명주나 면 등 천연 소재의 것이면 사용한다.

예단

  • 청실홍실을 말하며 입관 후관 위에 놓았다가 장지에서 예단을 불리하여 관위에 놓는데 청색은 위쪽에 홍색은 아래쪽에 놓는 방법과 청색을 우측에 홍색을 좌측에 놓는 방법(놓는 사람 기준)이 있다.

칠성판

  • 고대에는 사각 판자에 북두칠성을 그렸는데 칠성은 곧 나쁜 잡귀의 근접을 막고 북두는 북망산천을 일컫는데 저승이 그곳에 있다고 믿었으며 저승으로 바로 갈 수 있도록 길잡이의 역할을 하였다고 한다.
  • 현대적인 의미로는 고인의 손발이 곧고 바르게 되도록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대의 역할과 바닥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.

※ 북망산천 이란 = 중국 낙양에 있는 산 이름.

반함

  • 입관 시 고인의 입안에 쌀과 진주 혹은 엽전을 넣어 주는 것을 말하는데 상주는 입 오른쪽에 쌀을 떠 넣으며 “천석이요” 마지막 중앙에 넣으며 “만석이요” 외친다.
  • 쌀을 넣을 수저는 버드나무를 사용하였다.
  • 동전도 입 오른쪽에 넣으며 “백 냥이오” 왼쪽에 넣으며 “천 냥이오” 중앙에 넣으며 “만 냥이오” 외친다.
  • 진주는 입술에 살짝 물려준다.
  • 경우에 따라서는 상례사가 성창을 하고 상주가 복창을 하기도 한다.

※ 쌀, 진주, 동전을 넣는 의미는 고인의 입을 비워 둘 수가 없어 입을 허하게 하지 않으려는 효심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.

향안

  • 향상이라고도 불리는데 향로와 향 합 모삿그릇을 올려놓는 작은 상을 말한다.

※ 향 합: 향을 담아 두는 그릇

주가

  • 주전자, 술병, 퇴줏그릇, 등을 올려놓는 작은 상을 말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