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Buddhist funeralm
불교식의 장례 및 절차
불교식 상례도 일반 상례와 의식 절차가 비스하나 장례는 다비라고 아며 화장으로 치른다. 주례승은 시신이 다 탈 때 까지 지켜 서서 독경하며 유골은 쇄골한 다음 절에 봉안하고 49제, 백일제, 소기, 나기를 지내고 3년상을 치른다. 그리고 또 고인의 생일을 맞으면 추도식을 갖기도 하며 제와 영반도 있다.
- 01 개식
- 02 삼귀의례
- 03 약력보고
- 04 착어
- 05 창혼
- 06 현화
- 07 독경
- 08 추도사
- 09 소환
- 10 사흥서원
STEP
-
01
개식
호상이 한다
-
02
삼귀의례
주례승이 하며 불, 법, 승의 세가지 귀한 것 삼보에 돌아가 의지한다는 예로 불교의식에서는 항상 있다.
-
03
약력보고
망인을 추도하는 뜻에서 망인과 생존시에 가까웠던 친구가 한다.
-
04
착어
망인을 추도하는 뜻에서 망인과 생존시에 가까웠던 친구가 한다.
-
05
창혼
주례승이 하며 극락세계에 가서 고이 잠들라는 것으로 요령을 치며 한다.
-
06
헌화
유지나 친지 대표가 한다.
-
07
독경
주례승과 참례자 모두가 망인의 혼을 안정시키고 생존시에 모든 관계를 잊고 부처님 세계에 고이 잠들라는 염불이다.
-
08
추도사
초상에는 조사라고 하며 일반에서 하는 것과 같다.
-
09
소환
일동이 함께 향을 태우며 추모하고 애도한다.
-
10
사흥서원
주례승이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다.
중생무변서원도 : 즉 중생은 끝이 없으니 제도하여 주기를 맹세하는 것이며
번뇌무진서원단 : 즉 인간의 번뇌는 끊기를 원하는 맹세이며
법문무량서원학 : 불교의 세계는 한량이 없으나 배우기를 원한다는 것이다.
-
11
폐식을 선언한다.
식을 종료 합니다.